맨위로가기

쩐 명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명종은 1314년 영종에게 양위받아 쩐 왕조의 제5대 황제가 되었다. 그는 치수와 토목 공사를 자주 실시하여 백성들에게 부담을 주었으며, 1329년 장남 쩐 헌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나 헌종의 어린 나이로 인해 계속 실권을 잡았다. 참파와 타이족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쩐 껫 종을 중용하여 국정을 혼란시킨 것은 실정으로 평가받는다. 1341년 헌종이 사망하자 6세의 아들 쩐 유종을 즉위시키고 실권을 유지하다가 135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7년 사망 - 아폰수 4세 (포르투갈)
    아폰수 4세는 1325년부터 1357년까지 포르투갈과 알가르브의 왕으로 재위하며, 아버지와의 불화, 카스티야 왕국과의 외교 관계, 아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로 특징지어지며, 해군력 강화와 해양 탐사 지원으로 포르투갈 발전에 기여하여 '용감왕'이라고도 불린다.
  • 1357년 사망 - 자니베크 칸
    자니베크 칸은 14세기 중반 킵차크 칸국을 통치하며 러시아 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이슬람화를 장려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아들에게 암살당하며 킵차크 칸국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1300년 출생 - 원 명종
    원 명종은 무종 카이산의 아들로, 킵차크 군벌 엘 테무르의 지지를 받아 동생으로부터 제위를 양보받아 원나라의 제9대 황제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독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죽음은 원나라 말기 군벌 정권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천력의 내란'을 야기했다.
  • 1300년 출생 - 요한 타울러
    요한 타울러는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의 독일 신비주의 신학자이자 설교가로, 독일어 설교를 통해 신비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내면적 변화와 신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강조했으며, 흑사병 시기 시민들을 격려하며 종교개혁 이전 독일 신비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베트남의 태상황제 - 레 희종
    레 희종은 후 레 왕조의 황제로, 찐딱의 섭정 하에 꼭두각시 군주로 지냈으나, 그의 치세는 정화지치라 불리며 평화와 질서를 가져왔다.
  • 베트남의 태상황제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쩐 명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종 진
작위 정보
대월 황제재위: 1314년 4월 3일 ~ 1329년 3월 15일 (14년 346일)
태상황제재위: 1329년 3월 15일 ~ 1357년 3월 10일
쩐 왕조 황태자재위: 1309년 2월 11일 ~ 1314년 4월 3일
개인 정보
쩐마인 (Trần Mạnh / 陳奣 / 진앵), 쩐녓꽝 (Trần Nhật Quáng / 陳日爌 / 진일광)
묘호명종 (Minh Tông / 明宗)
시호장요문철황제 (Chương Nghiêu Văn Triết Hoàng Đế / 章堯文哲皇帝)
능호목릉 (Mục Lăng / 穆陵)
출생일1300년 9월 4일
사망일1357년 3월 10일 (56세)
출생지탕롱, 대월
사망지대월
매장지목릉
가족 관계
부친쩐 영종
모친휘 tư 황귀비
배우자여성 왕비
자녀
자녀 정보왕세자 쩐 브엉
통치 정보
연호대경 (Đại Khánh, 1314–1323)
개태 (Khai Thái, 1324–1329)
묘호명종 (Minh Tông)
시호체천숭화흠명예효황제 (Thể Thiên Sùng Hóa Khâm Minh Duệ Hiếu hoàng đế) 장요문철황제 (Chương-nghiêu văn-triết hoàng-đế)
기타 정보
왕조쩐 왕조
종교불교

2. 생애

쩐 영종(英宗)의 넷째 아들로, 1300년에 태어났다.[1] 1305년 동궁태자(東宮太子)로 책봉되었고, 1309년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 1314년 아버지 영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황제로 즉위했다.[17]

1320년 영종 사후 친정을 시작하여 치수 및 토목 공사를 자주 시행하였다. 재위 중 숙부이자 장인인 혜무대왕 쩐국진(惠武大王 陳國瑱)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명종은 쩐국진의 영향력을 경계하여 진극종(陳克終)을 중용하였고,[17] 결국 1328년 쩐국진을 유폐시켜 굶어 죽게 만들었다.[5][6][7] 이는 명종의 주요 실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5]

1329년 장남 헌종(憲宗)에게 양위하고 태상황(太上皇)이 되었으나, 헌종이 어렸기 때문에 실권은 계속 장악했다.[17] 이 시기 참파애뢰의 침입이 잦아졌으며, 명종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토벌에 나섰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단여해(段汝諧) 등 주요 장수들을 잃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18]

1341년 헌종이 요절하자, 당시 6세였던 열째 아들 유종(裕宗)을 즉위시키고 계속해서 실권을 행사했다. 간신으로 평가받는 진극종을 중용한 것은 국가 혼란을 가중시킨 요인으로 지적된다.[17]

1357년 58세의 나이로 보원궁(保元宮)에서 승하하였다.[1]

2. 1. 즉위 전

1300년 음력 8월 21일(9월 4일), 쩐 영종(英宗)과 소자황후(昭慈皇后, 휘 뜨(Huy Tư)) 사이에서 황자로 태어났다. 이름은 쩐 만(Trần Mạnh|쩐 마인vie)이다.[1] 소자황후는 장군 쩐 빈 쫑의 딸이었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쩐 만의 생일은 몽골 제국에 대항하여 대월을 지켜낸 영웅 쩐 흥 다오가 사망한 바로 다음 날이었다. 영종의 다른 아들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기에, 영종은 아들 쩐 만이 무사히 자라 왕위를 잇기를 바라며 왕족이자 중요한 인물인 쩐 녓 얏에게 양육을 맡겼다. 쩐 녓 얏의 정성스러운 보살핌 덕분에 쩐 만 황자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었다.[2]

1305년 1월, 쩐 만은 동궁태자(東宮太子)로 책봉되었으며, 1309년 1월에는 황태자(皇太子)로 책봉되었다.

1312년, 아버지 영종이 참파 원정을 직접 지휘하는 동안, 당시 12세였던 황태자 쩐 만은 쩐 녓 얏과 쩐 꿛 투의 보좌를 받아 잠시 국정을 대리하여 통치하는 경험을 쌓았다.[3]

2. 2. 황제 재위

1314년 3월 18일(4월 3일), 아버지 영종(英宗)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황제로 즉위하였다.[17] 재위 초기에는 팜 응우 라오(范五老), 막정지(莫挺之), 주반안(周文安), 단여해(段汝諧) 등 유능한 문관들의 보좌를 받아 대월을 안정적으로 통치했다.[5]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명종은 선한 의지를 가진 통치자였지만 국가 건설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1320년 영종이 사망하자 친정을 시작하였으나, 치수와 토목 공사를 자주 일으켜 백성들에게 부담을 주었다는 지적이 있다.

외교적으로는 원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남쪽의 참파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 1318년에는 쩐국진과 팜 응우 라오가 이끄는 군대가 참파를 공격하여 승리하기도 했으나,[6][8] 1326년 참파의 체 아난 왕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영향력을 상실했다.[9] 1330년경부터는 참파와 애뢰(哀牢)의 침입이 잦아졌다. 명종은 여러 차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애뢰(타이족) 정벌에 나섰으나[18], 번번이 패배하여 단여해(段汝諧) 등 많은 장수와 병사를 잃었다.[18]

쩐 명종의 시가 새겨진 비문


황후 헌자 황후는 숙부이자 장인인 혜무대왕 쩐국진(惠武大王 陳國瑱)의 딸이었다. 쩐국진은 영종 시대부터 활약한 공신이었으나, 명종은 그의 영향력을 경계하여 진극종(陳克終)을 중용했다.[17] 진극종은 쩐국진을 비방하였고,[5][6][7] 명종은 이를 믿고 1328년 쩐국진을 체포하여 굶어 죽게 만들었다.[5][6][7] 역사가들은 유능한 장군이었던 쩐국진을 숙청한 것을 명종의 가장 큰 실책으로 평가하며,[1][5] 이는 국론 분열과 국력 약화를 초래했다고 본다.[17] 명종 사후 유종은 쩐국진의 명예를 회복시켰다.[16]

쩐 명종 황제 동상


1329년 2월 15일(3월 15일), 황태자 헌종(憲宗)에게 양위하고 태상황(太上皇)으로 물러났다.[5][10][17] 그러나 헌종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실권은 여전히 명종이 가지고 있었다. 재위 기간 동안 대경(大慶, 1314년–1323년)과 개태(開泰, 1324년–1329년)라는 두 개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2. 3. 태상황

1329년 2월 15일(3월 15일), 명종은 장남 헌종(憲宗)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황(太上皇, Thái thượng hoàngvi)이 되었다.[5][10][17] 하지만 당시 헌종의 나이가 10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명종은 여전히 대월의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했다.[5]

태상황 시기 대월참파와 북방 타이족라오스(애뢰)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8] 1330년 7월부터 참파의 침입이 시작되었고,[6][8] 이전 1326년에는 체 아난이 참파를 대월의 속국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기도 했다.[9] 명종은 몇 차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타이족 정벌에 나섰으나, 오히려 큰 패배를 당하며 많은 병사와 장수를 잃었다. 1335년 라오스 원정에서도 패배하였고, 이때 중요한 문관이었던 도안 느 하이(段汝諧)가 전사하기도 했다.[12][18] 이러한 군사적 실패는 팜 응우 라오(1320년 사망), 쩐 꿕 쩐(1328년 사망), 진일휼(陳日燏, 1330년 사망) 등 유능한 장군들의 부재와 맞물려 있었다.[5][11]

내정에서도 혼란이 있었다. 명종은 자신의 장인이자 명망 높은 장군이었던 쩐 꿕 쩐을 경계하여[17], 쩐 껫 종(陳克終, Trần Khắc Chungvi)을 중용했다.[17] 쩐 껫 종은 쩐 꿕 쩐을 모함했고, 명종은 이를 믿고 쩐 꿕 쩐을 유폐시켜 결국 1328년 굶어 죽게 만들었다.[5][6][7] 사서에서는 쩐 껫 종과 같은 간신을 중용한 것이 명종의 가장 큰 실정이며 국가 혼란을 야기했다고 비판한다.[17] 또한, 명종과 헌종 시대에는 무능하고 부패한 관리들이 늘어나 왕조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5]

1341년 6월 11일(7월 24일), 헌종이 후사 없이 요절하자, 명종은 자신의 열 번째 아들이자 당시 6세였던 쩐 호(陳暭, Trần Hạovi, 裕宗)를 황제로 즉위시켰다.[13] 이후에도 명종은 태상황으로서 실권을 계속 장악하고 유종은 명목상의 황제 역할만 수행했다.[13]

1357년 2월 19일(3월 10일), 명종은 보원궁(保元宮)에서 58세(만 56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1] 시호는 장요문철황제(章堯文哲皇帝)로 추존되었다.[1] 명종의 죽음은 쩐 왕조의 번영과 안정기가 끝나고 쇠퇴기로 접어드는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왕실과 쩐 씨족 내부의 혼란이 심화되며 국가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14]

3. 외교 정책

명종은 아버지 영종의 외교 정책을 이어받아 북쪽의 원나라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6] 반면 남쪽의 참파 왕국과는 긴장 관계가 고조되었다. 참파의 적대 행위가 증가하자 명종은 남부 국경 방비를 강화했다.[6]

1318년, 명종은 쩐 꿕 쩐과 팜 응우 라오에게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공격하도록 명했다. 이 전투에서 대월군은 승리하여 많은 참파 군인을 사살했다.[6][8] 당시 참파의 왕 체 낭은 자바 섬으로 도망쳤으며, 대월 측에서도 후작 리 탓 끼엔(Ly That Kien)이 전사하는 손실을 입었다.[6][8] 그러나 1326년, 참파의 새로운 왕 체 아난은 대월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을 선언하며 양국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9]

한편, 서쪽 국경에서는 애뢰(Ai Lao)의 침입이 시작되어 카이우 2년(1330년) 전후로 어려움을 겪었다.[18] 명종은 여러 차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애뢰 토벌에 나섰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크게 패하여 도안 느 하이와 같은 주요 신하들을 잃기도 했다.[18]

4. 가족 관계

쩐 명종은 황후 1명, 후궁 1명, 그리고 후비 1명을 두었다. 슬하에는 아들 11명과 딸 2명을 두었으며, 이 중 아들 2명은 일찍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 중에서는 쩐 헌종, 쩐 유종, 쩐 예종 등이 왕위를 이었다.

4. 1. 부모


  • '''부친''': 영종인효황제( Anh Tông Nhân Hiếu Hoàng Đế|vi, 英宗仁孝皇帝|중국어 ) 쩐투옌( Trần Thuyên|vi, 陳烇|중국어 )
  • '''모친''': 소자황후( Chiêu Từ Hoàng Hậu|vi, 昭慈皇后|중국어 ) 진씨( Trần thị|vi, 陳氏|중국어 )

4. 2. 황후와 후궁

'''황후 및 후궁'''
칭호성씨생몰년비고
Hiến Từ Tuyên Thánh Hoàng Hậu|헌자선성황후vieTrần Thị|진씨vie? ~ 1370년
Thứ Phi|차비vieLê Thị|여씨vie
Minh Từ Hoàng Thái Phi|명자황태비vieLê Thị|여씨vie? ~ 1365년생전 칭호는 Anh Tư Nguyên phi|영자원비vie
Đôn Từ Hoàng Thái Phi|돈자황태비vieLê Thị|여씨vie? ~ 1347년생전 칭호는 Quang Hiến Thần phi|광헌신비vie



명종은 아들 11명과 딸 2명을 두었으며, 이 중 아들 2명은 일찍 세상을 떠났다.

'''자녀'''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아들쩐 브엉1319년 ~ 1341년훗날 쩐 헌종으로 즉위
공정왕(恭定王) 쩐 응우옌 짝1319년 ~ 1370년
공정왕(恭定王) 쩐 푸1321년 ~ 1394년훗날 쩐 예종으로 즉위
공민왕(恭愍王) 쩐 응우옌 후? ~ 1347년
공간왕(恭簡王) 쩐 응우옌 탁? ~ 1350년
공숙왕(恭肅王) 쩐 응우옌 욕? ~ 1364년
공신왕(恭信王) 쩐 티엔 짝? ~ 1379년
쩐 하오1336년 ~ 1369년훗날 쩐 유종으로 즉위
공선왕(恭宣王) 쩐 낀1337년 ~ 1377년훗날 쩐 예종으로 즉위
천녕공주(天寧公主) 쩐 응옥 타(Bạch Tha|백타vie)
휘녕공주(徽寧公主)? ~ 1370년호 꾸이 리의 부인


4. 3. 황자

쩐 명종은 여러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그중 4명이 황제가 되었다. 주요 황자는 다음과 같다.

순서작위이름 (베트남어|한자vie)생몰년비고
장남황태자Trần Vượng|쩐브엉 / 陳旺vie1319년 ~ 1341년제6대 황제 쩐 헌종. 명자황태비 소생.
차남공정대왕Trần Nguyên Trác|쩐응우옌딱 / 陳元晫vie1319년 ~ 1370년
?공정왕Trần Phủ|쩐푸 / 陳暊vie1321년 ~ 1394년제9대 황제 예종. 차비 여씨 소생.
?공민왕Trần Nguyên Hú|쩐응우옌후 / 陳元煦vie? ~ 1347년
?공간왕Trần Nguyên Thạch|쩐응우옌탓 / 陳元石vie? ~ 1350년
육남공숙왕Trần Nguyên Dục|쩐응우옌죽 / 陳元昱vie1335년 ~ 1364년제8대 황제 혼덕공 쯔엉냣레(즈엉녓레)의 양부. 황태백(皇太伯)으로 추존됨.
?공신왕Trần Thiên Trạch|쩐티엔탓 / 陳善澤vie? ~ 1379년
십남황태제Trần Hạo|쩐하오 / 陳暭vie1336년 ~ 1369년제7대 황제 쩐 유종. 헌자선성황후 소생.
십일남공선왕Trần Kính|쩐낀 / 陳曔vie1337년 ~ 1377년제10대 황제 예종. 돈자황태비 소생.


4. 4. 황녀

쩐 명종에게는 2명의 황녀가 있었다.

  • '''천녕공주'''(Thiên Ninh Công Chúa|天寧公主vie): 이름은 쩐 응옥 타( Trần Ngọc Thavie , 백타 Bạch Thavie )이며, 어머니는 헌자선성황후이다.
  • '''휘녕공주'''(Huy Ninh Công Chúa|徽寧公主vie): ? ~ 1370년. 호꾸이리의 정실부인이 되어 아들 호한트엉을 낳았다. 사후 호꾸이리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대자황후'''(Thái Từ hoàng hậu|太慈皇后vie)로 추존되었다.

5. 평가



역사학자들은 명종을 선한 의지를 가진 통치자로 평가하면서도, 국가 건설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은 부족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명종은 팜 응우 라오, 도안 느 하이, 막 딘 치, 쭈 반 안과 같은 유능한 문관들의 보좌를 받아 대월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통치했다.[5]

그러나 그의 통치에는 심각한 실책 또한 존재했다. 가장 큰 오점 중 하나는 장인이자 저명한 장군이었던 쩐 꿕 쩐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사건이다.[1][5] 명종의 첫째 아들 쩐 브엉은 황후가 아닌 후궁 소생이었는데, 이로 인해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다. 이때 쩐 브엉 지지 세력의 중심인물이었던 쩐 칵 쭝은 황후의 아버지인 쩐 꿕 쩐을 모함했다. 명종은 이 모함을 믿고 쩐 꿕 쩐을 투옥시켰으며, 그는 결국 1328년 감옥에서 굶어 죽었다.[5][6][7] 이는 외척 세력 견제 과정에서 벌어진 비극으로, 명종의 판단력 부족과 간신에게 휘둘린 결과로 평가된다.

또한 명종은 숙부이자 영종 시대부터 활약한 숙장 쩐 꾸옥 끼엔 陳國瑱중국어의 영향력을 꺼려 그를 배척하고, 앞서 언급된 쩐 칵 쭝 Trần Khắc Chungvie을 중용했다.[17] 쩐 꾸옥 끼엔이 여러 차례 간언했지만, 명종은 오히려 그를 체포하여 유폐시키고 굶겨 죽였다. 비록 명종 사후 유종 대에 쩐 꾸옥 끼엔의 명예가 회복되었지만[16], 충신을 내치고 간신을 중용한 것은 명종의 큰 실책으로 지적된다. 사서에서는 쩐 칵 쭝과 같은 간신을 중용하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것을 명종 최대의 실정으로 기록하고 있다.[17]

1329년 명종은 장남 헌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 Thái thượng hoàngvie )이 되었지만[17], 헌종이 어렸기 때문에 실권은 계속 명종이 쥐고 있었다. 이 시기 대월은 참파와 애뢰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명종은 몇 차례 애뢰 토벌을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나섰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도안 느 하이 Đoàn Nhữ Hàivie와 같은 중신을 잃는 등 패배를 겪기도 했다.[18] 1341년 헌종이 요절하자 겨우 6세의 열째 아들 쩐 Hạovie(유종)을 즉위시키고 계속 실권을 잡았다.

결론적으로 명종은 유능한 인재 등용과 같은 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충신 숙청과 간신 중용, 외침에 대한 미흡한 대처 등 심각한 실정을 저질렀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과적으로 쩐 왕조의 국력을 약화시키고 혼란을 야기하여 왕조 쇠퇴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元史』巻二百九 列伝第九十六 外夷二 安南
[16]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七 陳紀 裕宗皇帝 付昏徳公楊日礼一年
[17]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六 陳紀 明宗皇帝
[18]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七 陳紀 憲宗皇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